찾았다! 이 주식....

찾았다 이주식!...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MapleTech 2020. 10. 30. 03:24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는 한때 국내 증시를 주도한 BBIG7(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LG화학, 삼성SDI, 네이버, 카카오, 엔씨소프트)의 명성을 갖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기업이다. 다른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의 원료를 받아 이를 대량 생산하는 게 주업무다.

이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꿈은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고 고객 만족도가 높은CRO(위탁연구)-CDO(위탁개발)-CMO(위탁생산)의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글로벌 최고 혁신기업을 지향한다.

회사에 따르면 2020년CMO 챔피언을 달성한데 이어 이번 샌프란시스코 해외 첫 CDO R&D센터를 시작으로 2025년은CDO 글로벌 챔피언, 올해 시작하는 CRO는 2030년에CRO 챔피언을 목표로 두고 있다.

 

최근 인천 송도 제4공장 건립 확정으로위탁생산(CMO) 부문에서 세계 최상위 수준에 오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제 CDO로의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다.

제 4공장은 서울 월드컵 공장의 약 1.5배 크기이며 단일 공장 세계 최대 규모로 1조 7천억원이 투자된다.

이 공장을 완공할 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동물 세포 배양설비를 확보해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위탁생산(CMO) 설비의 30%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 9월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사아스트라제네카와 3850억 원 규모의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3억3080만 달러(약 3850억 원) 규모의 원제(DS) 및 완제(DP) 위탁생산 장기 공급 본계약을 맺었다.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이다. 최소보장금액 기준이 3850억 원 규모이고 추후 아스트라제네카 측의 필요에 따라 6349억 원까지 수주 금액이 커질 수 있다고한다.

 

이번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 바이오산업 중심지로 꼽히는미국 샌프란시스코(SF)에 위탁개발(CDO) 연구개발(R&D) 센터를열며 해외 직접 진출에 나선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R&D 센터는 샌프란시스코 바이오 클러스터 단지 안에 위치해 잠재 고객 확보와 서비스 조기 착수 등 접근성을 높인다.

R&D 센터 주변에는 제넨텍, 암젠, 머크 등 2,500여개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들이 몰려 있기 때문이다.

샌프란시스코는 세계적 바이오 기업들이 탄생한 미국 최대 규모 연구단지가 있는 곳이다.

 

미국 현지에서 바이오 기업들의CDO수주에 성공하면CMO계약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R&D 센터를 시작으로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개발과 생산을 연계해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본다.

CDO는 세포주(대량 증식해 원하는 의약품을 만드는 데 쓰는 세포)와 생산공정 개발 등을 대행하는 사업이다.

이번 R&D 센터가 주로 미국 고객사를 위한 세포주 및 공정 개발, 임상시험용 물질 생산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상업화 단계인 CMO인천 송도 본사에서 이어받도록 해 사업 영역 간 유기적 결합을 높일것으로 기대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CDO는 세포주 개발부터 원료 의약품 생산까지 6개월이면 끝내는 빠른 속도를 내세우고 있다.

통상적인 기업들 소요 기간(12개월)의 절반 수준이다.

그동안 위탁개발한 물질이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청(EMA) 등의 임상시험 승인을 받는 등 초기 성과가 나타나고있다.

회사의 목표는 글로벌 최대 CMO에 만족하지 않고 CDO 사업을 매출액과 영업액이 자리매김한 뒤 내년에는 위탁연구(CRO) 사업에도 본격적으로 착수하여 2030년까지 CMO와 CDO, CRO 세 부문에서 모두 가장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도약하는것이다.

 

기업 재무 현황

2023년부터 4공장을 가동해 2027년 가동률이 8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해 현금 흐름 개선이 예상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세가 유지된다고 전망하고 있다.

현재 매출 수준이 미미한 의약품위탁개발(CDO)와 의약품위탁연구(CRO)도 R&D 센터의 실적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큰 성장성이 기대된다.

이에따라 성장성을 바탕으로 주가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는 분석가가 많다.

 

2020년 매출 추정액은 10527억원, 영업이익은 2674억원이다.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매출액(억원) 912.8 2,946.2 4,646.3 5,358.1 7,015.9
*내수 2,946.2 7,015.9      
*수출          
매출원가 1,147.8 2,680.9 3,328.3 3,906.5 5,095.8
매출총이익 -235.1 265.3 1,318.0 1,451.6 1,920.1
판매비와관리비 1,801.4 569.6 658.2 894.8 1,002.7
영업이익(억원) -2,036.4 -304.2 659.8 556.8 917.4